▣ 약물 치료
- 골흡수 억제제 : 뼈의 분해 속도를 줄여 골밀도 유지
- 골형성 촉진제 : 뼈 형성을 촉진하는 부갑상선호르몬 제제 등이 사용됨
- 호르몬 치료 : 폐경 후 여성에게 호르몬 대체 요법(HRT)이 고려됨
▣ 생활습관 개선
- 규칙적인 운동 : 체중 부하 운동, 근력 운동, 균형 및 유연성 운동
- 금연 및 절주
- 낙상 예방
▣ 영양 관리
- 칼슘 섭취 : 성인 하루 권장량은 1,000~1,200mg으로 우유, 치즈, 요거트, 멸치, 두부, 브로콜리, 견과류 등에 풍부함
- 비타민 D 보충 : 하루 권장량 800~1,000IU 이며 햇빛 노출, 연어, 고등어, 달걀노른자, 비타민 D 보충제 섭취를 통해 보충이 가능함
- 단백질 섭취 : 살코기, 생선, 콩류, 두부 등을 충분히 섭취
- 나트륨과 카페인 섭취 제한 : 커피, 탄산음료와 같은 카페인도 하루 1~2잔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좋음
▣ 정기적인 골밀도 검사
- 50세 이상 : 1~2년마다 골밀도 검사(BMD, DXA 검사) 권장
- 골다공증 위험군(가족력, 폐경 후 여성, 스테로이드 장기 복용자 등)은 정기적인 검사가 필수
※ 골다공증은 한 번 진행되면 되돌리기 어렵기 때문에 조기 예방과 꾸준한 관리가 가장 중요합니다.